운전하며 많은 경고등을 보실텐데요 필요한 경고등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당장 위험한 수도 있는 빨간색 경고등!
당장은 아니지만 곧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노란색 경고등!
현재 주행상태를 알려주는 녹색등! 한 번 알아볼까요?
위험합니다!! 가까운 정비소로!!
빨간색 경고등!!
※ 브레이크 경고등
풀어주세요.
※ 엔진오일 경고등
정비소로 가야합니다. 엔진오일이 부족하거나 압력이
떨어져 오일이 제대로 순환되지 않을 때 켜집니다.
※ 냉각수 과열 경고등
계속 주행을 할 경우 높은 열로 인해 엔진 헤드가 변형되며
망가집니다. 따라서 이 경고들이 들어왔으면 주행을
멈추고 견인해 정비소로 가야합니다.
과열 됐으니 식혀야지 하며 냉각수 캡을 열면 정말
위험합니다. 뜨거운 수증기로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배터리 경고등
있을 때 점등이 됩니다. 또 팬벨트가 끊어졌을 때도
점등됩니다. 팬벌트가 끊어지면 라디에이터에도 손상이
생길 수 있으니 정비소에서 점검 받는게 중요합니다.
※ 문 열림 경고등
점등됩니다. 주행 전 꼭 확인하세요!
※ 안전벨트 경고등
점등됩니다. 안전을 위한거니 꼭 안전벨트 착용!
※ 에어백 경고등
이유로는 스티어링 휠에 전력을 공급하는 클락 스프링이
망가졌을 경우입니다. 전력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면
에어백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스마트 에어백이나 어드밴스드 에어백이 탑재된
차량에는 시트에 승객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센서가 고장나도 점등됩니다.
※ EPS경고등
스티어링의 약자로 전기모터의 힘으로 조향에 힘을
더하는 장치입니다. 만약 EPS에 이상이 생기면
경고등이 점등되고 스티어링 휠의 조향감이 묵직해집니다.
주의! 빠른 시일 내에 점검하세요!
노란색 경고등!
※ 예열 플러그 경고등
충분히 예열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이 경고등이
사라지면 시동을 거세요. 만약 충분히 예열 된 상태임에도
이 경고등이 점등된다면 예열 관련 장치나 엔진 제어
장치에 이상이 생겼음을 의심해 봐야합니다.
※ ESP경고등
제어장치를 말합니다. 네 바퀴의 회전을 제어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동차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합니다.
자동차 제조사에 따라 ESP(벤츠,쌍용), ESC(르노),
VDC(현대,닛산), DSC(BMW)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이 경고등이 점등되는 상황은 두 가지입니다.
상시 점등은 ESP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이며, 깜빡이며
점등되는건 현재 각각의 바퀴가 미끄러져 ESP가
개입한다는 의미입니다.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ESP
장치를 껐을 때도 상시 점등됩니다.
※ 워셔액 경고등
※ 엔진 경고등
점등됩니다. 보통 각종 센서나 배기가스 관련 부품,
엔진 점화 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점등됩니다.
또한 주유구 캡을 제대로 잠그지 않아도 점등됩니다.
즉시 점검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나 빠른 시일 내에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연료 부족 경고등
이하로 남았을 경우 점등되니 연료를 채워야 합니다.
※ 이모빌라이저 경고등
이모빌라이저는 자동차 키에 내장된 작은 칩을 말합니다.
이 칩과 ECU가 암호로 통신을 주고 받아 그 차 고유의
열쇠가 확인될 경우에만 시동이 걸리도록하여 도난을
방지합니다.
※ 전구 고장 경고등
점등됩니다.
※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타이어에 이물질이 박혀 바람이 새고 있거나 타이어에
펑크가 났을 수 있으니 가까운 정비소로 이동해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일교차가 크면 종종 오류가
발생합니다. 경고등이 들어오면 차에서 내려 바퀴를
확인해 보시고 시동을 켠 후 살짝만 움직여도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경험담이지만 정비소로..가는게 낫겠..)
※ ABS경고등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주행 중 점등되면 퓨즈가 끊어진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하지만 이 경고등이 빨간색으로
점등될 시에는 브레이크 시스템 이상이므로 바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 DPF 경고등
발생한 미세분진을 모았다가 태우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에 문제가 생겼을 시 점등됩니다.
이 밖에도 브레이크 패드 경고등도 있습니다.
빨간색 브레이크 경고등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느낌표
주위 실선이 점선이고 노란색 경고등입니다.
브레이크 패드 두께가 마모로 인해 기준치 이하로
얇아지면 점등됩니다.
현재 작동 상태를 알려드립니다! 녹색 경고등!
※ 오토스톱/스타트
차량이 멈추면 시동이 꺼지는 기능입니다.
※ 미등 표시등
차폭등, 계기판, 번호판 등이 포함됩니다.
※ 비상 경고등, 방향 지시등
깜빡이면 차량이 이동 방향을 나타냅니다.
※ 안개등 하향등
※ 전조등 상향등
마주 오는 차량이 있을 때에 사용하면 상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해 사고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에코 드라이브
위주의 기어 단수를 조절해 주는 기능입니다.
정리해 보았습니다. 당장 위험한 수도 있는 빨간색 경고등!
당장은 아니지만 곧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노란색 경고등!
현재 주행상태를 알려주는 녹색등! 한 번 알아볼까요?
위험합니다!! 가까운 정비소로!!
빨간색 경고등!!
※ 브레이크 경고등
풀어주세요.
※ 엔진오일 경고등
정비소로 가야합니다. 엔진오일이 부족하거나 압력이
떨어져 오일이 제대로 순환되지 않을 때 켜집니다.
※ 냉각수 과열 경고등
계속 주행을 할 경우 높은 열로 인해 엔진 헤드가 변형되며
망가집니다. 따라서 이 경고들이 들어왔으면 주행을
멈추고 견인해 정비소로 가야합니다.
과열 됐으니 식혀야지 하며 냉각수 캡을 열면 정말
위험합니다. 뜨거운 수증기로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배터리 경고등
있을 때 점등이 됩니다. 또 팬벨트가 끊어졌을 때도
점등됩니다. 팬벌트가 끊어지면 라디에이터에도 손상이
생길 수 있으니 정비소에서 점검 받는게 중요합니다.
※ 문 열림 경고등
점등됩니다. 주행 전 꼭 확인하세요!
※ 안전벨트 경고등
점등됩니다. 안전을 위한거니 꼭 안전벨트 착용!
※ 에어백 경고등
이유로는 스티어링 휠에 전력을 공급하는 클락 스프링이
망가졌을 경우입니다. 전력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면
에어백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스마트 에어백이나 어드밴스드 에어백이 탑재된
차량에는 시트에 승객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센서가 고장나도 점등됩니다.
※ EPS경고등
스티어링의 약자로 전기모터의 힘으로 조향에 힘을
더하는 장치입니다. 만약 EPS에 이상이 생기면
경고등이 점등되고 스티어링 휠의 조향감이 묵직해집니다.
주의! 빠른 시일 내에 점검하세요!
노란색 경고등!
※ 예열 플러그 경고등
충분히 예열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이 경고등이
사라지면 시동을 거세요. 만약 충분히 예열 된 상태임에도
이 경고등이 점등된다면 예열 관련 장치나 엔진 제어
장치에 이상이 생겼음을 의심해 봐야합니다.
※ ESP경고등
제어장치를 말합니다. 네 바퀴의 회전을 제어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동차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합니다.
자동차 제조사에 따라 ESP(벤츠,쌍용), ESC(르노),
VDC(현대,닛산), DSC(BMW)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이 경고등이 점등되는 상황은 두 가지입니다.
상시 점등은 ESP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이며, 깜빡이며
점등되는건 현재 각각의 바퀴가 미끄러져 ESP가
개입한다는 의미입니다.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ESP
장치를 껐을 때도 상시 점등됩니다.
※ 워셔액 경고등
※ 엔진 경고등
점등됩니다. 보통 각종 센서나 배기가스 관련 부품,
엔진 점화 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점등됩니다.
또한 주유구 캡을 제대로 잠그지 않아도 점등됩니다.
즉시 점검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나 빠른 시일 내에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연료 부족 경고등
이하로 남았을 경우 점등되니 연료를 채워야 합니다.
※ 이모빌라이저 경고등
이모빌라이저는 자동차 키에 내장된 작은 칩을 말합니다.
이 칩과 ECU가 암호로 통신을 주고 받아 그 차 고유의
열쇠가 확인될 경우에만 시동이 걸리도록하여 도난을
방지합니다.
※ 전구 고장 경고등
점등됩니다.
※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타이어에 이물질이 박혀 바람이 새고 있거나 타이어에
펑크가 났을 수 있으니 가까운 정비소로 이동해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일교차가 크면 종종 오류가
발생합니다. 경고등이 들어오면 차에서 내려 바퀴를
확인해 보시고 시동을 켠 후 살짝만 움직여도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경험담이지만 정비소로..가는게 낫겠..)
※ ABS경고등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주행 중 점등되면 퓨즈가 끊어진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하지만 이 경고등이 빨간색으로
점등될 시에는 브레이크 시스템 이상이므로 바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 DPF 경고등
발생한 미세분진을 모았다가 태우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에 문제가 생겼을 시 점등됩니다.
이 밖에도 브레이크 패드 경고등도 있습니다.
빨간색 브레이크 경고등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느낌표
주위 실선이 점선이고 노란색 경고등입니다.
브레이크 패드 두께가 마모로 인해 기준치 이하로
얇아지면 점등됩니다.
현재 작동 상태를 알려드립니다! 녹색 경고등!
※ 오토스톱/스타트
차량이 멈추면 시동이 꺼지는 기능입니다.
※ 미등 표시등
차폭등, 계기판, 번호판 등이 포함됩니다.
※ 비상 경고등, 방향 지시등
깜빡이면 차량이 이동 방향을 나타냅니다.
※ 안개등 하향등
※ 전조등 상향등
마주 오는 차량이 있을 때에 사용하면 상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해 사고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에코 드라이브
위주의 기어 단수를 조절해 주는 기능입니다.
'부르릉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소모품 교체시기 (0) | 2020.01.15 |
---|---|
자동차 운전석 높낮이 조절방법 (0) | 2020.01.12 |
겨울철 아침 자동차 앞유리 성에제거 방법 (0) | 2020.01.10 |
이중주차 후 기어중립N 하기 (1) | 2019.09.23 |
모하비 더 마스터 갖고 싶다... 가격은요? (0) | 2019.09.10 |